2011. 3. 7.

그린 파파야 김치


프놈펜의 무는 한국의 무에 비하면, 
작고 수분이 별로 없고 씁쓸한 맛이 난다. 
달고도 시원한 깍뚜기, 이곳에서는 먹을 수 없단 말인가! 

NPIC의 엄경숙 교수님께서 그린 파파야로 김치를 담아 먹으면 
맛나다는 귀한 tip을 알려 주셨다. 
이전에 영화 제목에 나오는 그 그린 파파야 말씀하시는 건가요? 
시장에서 2~3개에 1불 밖에 안하는 그린 파파야 말씀하시는 건가요?

얼른 시장에 가서 그린 파파야를 몇개 사왔다. 
흠.... 도저히 외관상으로는 김치와는 거리가 먼 친구 같은데...

일단 칼로 배를 갈라 보았다. 
아니 가운데에 하얗고 동글 동글한 씨가 수두룩하게 들어있는 것 아닌가?
심지어 어떤 파파야에는 곤충 알같은 까만 씨가 수도 없이 들어있다. 
으악~ 징그럽다!

무생채를 무치듯, 소금에 절여서 갖은 양념을 넣어 무쳐냈다.
먹어 볼까?
... 
...
무척 맛있다!
그린 파파야 김치 접수!


시은 자매와 온유 주언, 음악회 처음 왔어요!



2월 26일, 이찬해 교수님께서 주최하신 음악회가 프놈펜의 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렸고 
NPIC의 교수들도 초대해 주셔서 우리 가족도 음악회를 가게 되었다.
  
사진에 함께 한 자매는 시은이라는 한국이름을 가진 캄보디아 자매인데,
이제 3월쯤 부산으로 3년동안 일하러 가게 된다. 
표가 한 장 여유분이 있어 누구와 함께 가면 좋을까 하다가
남편이 시은 자매를 데리고 가면 좋겠다고 했다. 
시은 자매는 평생 클래식 음악회가 처음이라고 했다. 

처음 외국을 나간다며 무섭기도 하고 떨리기도 한다는 시은 자매,
성격도 밝고 한국말도 너무 잘한다.  
처음 와본 클래식 음악회, 시은 자매에게는 어떤 기억으로 남을까?

시은 자매 뿐만 아니라, 온유 주언이도 클래식 음악회는 처음이었다. 
한국과는 달리, 조금은 자유로운 분위기의 음악회였기에 아이들도 함께 갈 수 있었다.
한껏 기대를 하던 두 아이들... 
한 두 곡 듣더니 너무 지루하다며 다시는 오지 않겠다고 한다. 
결국 쉬는 시간에 나가서 아빠와 호텔 로비에서 사진 찍기 놀이를 하며 
엄마와 시은이모를 기다렸다. 

클래식 음악을 잘 모르는 나이지만, 
한 음 한 음 정교하게 마음을 실어 연주하는 연주자의 모습과 그의 음악을 듣는 것 만으로도
다시 한 번 내 삶의 모습에 흐트러진 곳은 없는지...
빡빡하고 지루한 모노톤은 아닌지...
 최선의 master piece로 빚어지고 있는지..
 생각하게 하는 시간이었다. 


엄마를 기다리며 사진 찍기 놀이 중인 아빠와 어린이들...